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ted-wiki 님의 블로그

부활절 위키2 본문

주일공과

부활절 위키2

ted-wiki 2025. 4. 26. 10:15

1. 예수께서 잡히시던 날 밤, 베드로가 칼로 제사장의 종의 귀를 베다.
사복음서 모두에 기록되어 있음. (다만, 칼을 꺼낸 제자와 제사장의 종의 이름(말고, Malko을 밝히고 있는 복음서는 요한복음서이다)
마태복음 6장 51-56절
마가복음 14장 47-52절
누가복음 22장 49-53절
요한복음 18장 10-11절
 
베드로의 칼; 폴란드의 포즈난 고고학 박물관(Poznań Archdiocesan Museum)과 그것을 복제한 것이 포즈난 바실리카 정교회(Poznań Archcathedral Basilica)의 벽에도 베드로의 칼이 전시되어 있는데 진위에 대해서 오랫동안 논란이 있었다*
 
 
 
2. 부활 후 승천(Ascension of Jesus)
가톨릭과 정교회 등에서는 예수께서 부활하신 후 40일째 되는 날을 승천절(Ascension Day)을 기념하지만,
개신교는 승천 사건 자체는 믿고 설교하지만 별도의 절기로 기념하지는 않는 편이다.
 
 
그가 고난 받으신 후에 또한 그들에게 확실한 많은 증거로 친히 살아 계심을 나타내사 사십 일 동안 그들에게 보이시며 하나님 나라의 일을 말씀하시니라(사도행전 1:3)
 
하늘에서 내려온 자 곧 인자 외에는 하늘에 올라간 자가 없느니라(요한복음 3:13)
 
그러면 너희는 인자가 이전에 있던 곳으로 올라가는 것을 본다면 어떻게 하겠느냐(요한복음 6:62)
 
예수께서 이르시되 나를 붙들지 말라 내가 아직 아버지께로 올라가지 아니하였노라 너는 내 형제들에게 가서 이르되 내가 내 아버지 곧 너희 아버지, 내 하나님 곧 너희 하나님께로 올라간다 하라 하시니(요한복음 20:17)
 
마가복음의 긴 끝 부분(The longer ending of Mark)은 승천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것은 그 복음서의 원본에 나중에 추가된 것이다.
 
 
그분은 하늘에 올라가시어 전능하신 하나님 아버지의 우편에 앉으셨습니다
 
유대 기독교인들(Jewish Christianity)은 사도신경에 나와 있듯이, 곧 예수가 죽은 자 가운데서 먼저 부활하셨고, 하늘로 올라가 승천하셨으며, 하늘에서 하나님 우편에 앉으셨다고 믿었다. 여호와께서 내 주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네 원수들로 네 발판이 되게 하기까지 너는 내 오른쪽에 앉아 있으라 하셨도다(시편110:1)은 예수의 죽음과 부활의 현현에 대한 이러한 해석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했다. 이러한 이해는 신학자 유스투스 크네히트Justus Knecht가 다음과 같이 쓴 글에서 요약된다. "우리 주님께서는 사도들 앞에서 자신의 권능으로 육신과 영혼으로 하늘로 올라가셔서 영광을 차지하시고 하늘에서 아버지와 함께 우리의 중보자가 되셨습니다. 그분은 사람으로, 구속받은 자들의 머리로 승천하셨으며, 그분의 발자취를 따르는 모든 사람을 위해 하늘에 거처를 예비하셨습니다."*
 
 
3. 십자가에 달린 강도의 구원 문제
십자가에 달린 강도의 구원은 성경에서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이며, 특히 누가복음 23장 39-43절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한 강도는 예수를 조롱하며 그를 믿지 않았지만, 다른 강도는 예수를 향해 회개하고 구원을 간청했다. 예수는 이 강도의 간청을 들어주시고, 그날 낙원에 함께 있게 하셨다.
 
cf. 두 강도는 모두 예수님을 비난했는가? 한 강도만 비난했는가? 한 강도의 심경의 변화
마태복음 27:44, 마가복음 15:32
 
두 강도는 이 세상에 살아가는 모두를 대표하는 두 부류의 사람들이다. 두 강도는 당시 가장 극형인 십자가형을 당할 만큼 극악 무도한 죄를 지은 사람들이다. 그리고 그게 우리다. 우리는 지옥에 떨어져야 할 가장 커다란 죄를 지은 사람들이다. 그런데 예수를 알아본 한 강도가 십자가에 못박혀 자기 몸도 가누지 못하는 예수께 부탁한다.
 
달린 행악자 중 하나는 비방하여 이르되 네가 그리스도가 아니냐 너와 우리를 구원하라 하되
하나는 그 사람을 꾸짖어 이르되 네가 동일한 정죄를 받고서도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아니하느냐
우리는 우리가 행한 일에 상당한 보응을 받는 것이니 이에 당연하거니와 이 사람이 행한 것은 옳지 않은 것이 없느니라 하고
이르되 예수여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에 나를 기억하소서 하니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시니라
 
십자가에 달린 강도는 예수를 믿고 회개하는 순간에 구원을 얻었다. 십자가에 달린 강도의 구원은 믿음과 회개가 구원의 조건임을 보여준다. 자신이 죄인임을 인정하고 예수를 믿는 사람은 누구나 구원을 받을 수 있다
 
 
4. 본디오 빌라도가 예수 고난의 모든 책임?? 빌라도의 보고서?*
 
본디오 빌라도는 서기 26년에서 36년경까지 로마 유대 속주의 총독이었다. 그는 예수의 처형을 감독했는데, 이는 예수가 스스로를 "유대인의 왕"이라고 불렀다는 비난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그는 예수가 " 하나님의 왕국"을 건설하기 위해 헤롯 왕조에 대한 반란을 조장하고 있다고 믿었다.*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을 받으사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시고..."

사도신경의 이 표현은 역사적 맥락에서 예수의 십자가 처형이 실제로 로마 총독 빌라도 치하에서 일어났다는 사실을 명시하는 것으로 즉, 역사적 시기와 인물을 지목함으로써 사건의 실재성과 구체성을 강조하는 목적이 크다. 하지만 이 구절이 빌라도 혼자에게 책임을 묻는다거나, 그가 유일한 가해자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성경에서는 유대 종교 지도자들과 군중의 역할도 함께 언급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신학적으로 예수의 죽음이 하나님의 구속 계획의 일부로 이해된다.
 
빌라도 행전은 본디오 빌라도가 썼다고 주장하거나, 그의 활동과 예수의 수난을 자세히 묘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초기 기독교 문헌의 여러 편(Acts of Pilate, Anaphora Pilati, Letter of Herod to Pilate 등)을 모아놓은 것이다. 현대 학자들은 이 문서들 중 어떤 것도 빌라도나 그의 동시대 사람들이 직접 쓴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5. 부활의 역사적 기록이 남아있나?
 
성경과 기독교 신앙 외에 외부의 역사적인 기록은 간접적으로만 언급되고 있다.

1) 요세푸스 (Flavius Josephus)
유대인 역사가로, 《유대 고대사》에서 예수의 존재와 십자가 처형, 제자들의 신앙을 언급. “그가 죽은 뒤, 그는 다시 살아났다고 전해지며, 지금도 그를 따른 사람들이 남아 있다.” (일부 문장은 후대 기독교인에 의해 첨가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됨)
 
유대 고대사Testimonium Flavianum, 제18권 3장 3절 (약 서기 93~94년경, 로마)
 
영문 번역 (William Whiston 번역):
"Now there was about this time Jesus, a wise man, if it be lawful to call him a man, for he was a doer of wonderful works—teacher of such men as receive the truth with pleasure. He drew over to him both many of the Jews and many of the Gentiles. He was [the] Christ. And when Pilate, at the suggestion of the principal men amongst us, had condemned him to the cross, those that loved him at the first did not forsake him; for he appeared to them alive again the third day, as the divine prophets had foretold these and ten thousand other wonderful things concerning him. And the tribe of Christians, so named from him, are not extinct at this day."

한글 요약 번역:
"그 무렵 예수라는 지혜로운 사람이 있었다. 만약 그를 사람이라고 부를 수 있다면 말이다. 그는 놀라운 일을 행했고, 진리를 기꺼이 받아들이는 자들에게 가르침을 주었다. 그는 많은 유대인과 이방인을 자기에게 이끌었다. 그는 그리스도였다. 빌라도는 우리 지도자들의 요청에 따라 그를 십자가형에 처했고, 그를 사랑했던 자들은 그를 버리지 않았다. 그는 다시 살아난 모습으로 그들에게 나타났고, 예언자들이 이미 이러한 일들과 수많은 놀라운 일들을 예언했었다. 그리스도인이라 불리는 그의 추종자들은 오늘날까지도 존재한다."

⚠️ 주석: 일부 문장(예: "He was [the] Christ", "he appeared to them alive again the third day")은 후대 기독교인들에 의해 첨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학계에서는 원문 수정본(Minimalist version)을 제시하기도 한다.

Minimalist version (학자 Gerd Theissen, John Meier 등 제안)
"At this time there appeared Jesus, a wise man. He was a doer of startling deeds, a teacher of people who receive the truth with pleasure. He won over many Jews and many of the Greeks. When Pilate, upon hearing him accused by men of the highest standing among us, had condemned him to be crucified, those who had in the first place come to love him did not give up their affection for him. The tribe of the Christians, named after him, has still to this day not disappeared."

한글 번역 (Minimalist version):
"이 무렵 예수라는 지혜로운 사람이 나타났다. 그는 놀라운 일을 행하는 자였으며, 진리를 기꺼이 받아들이는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주었다. 그는 많은 유대인과 그리스인들을 자기에게 이끌었다. 고위층 사람들의 고발에 따라 빌라도가 그를 십자가에 처하자, 처음부터 그를 사랑했던 자들은 그에 대한 애정을 저버리지 않았다. 그리스도인이라는 이름의 무리가 지금까지도 존재한다."

⚠️ 주의점: 이 버전은 "그는 그리스도였다", "그가 부활했다", "예언자들이 예언했다" 같은 명백한 기독교적 문구들을 제거한 것이다. 많은 학자들이 이 버전이 비기독교 유대인인 요세푸스가 기록했을 법한 보다 현실적인 서술이라고 판단한다.
 
2) 타키투스 (Tacitus)
로마 역사학자로, 《연대기》에서 네로 황제가 그리스도인을 박해했으며, 그리스도가 본디오 빌라도에 의해 처형되었다고 기록.
부활은 직접 언급되지 않지만, 예수 추종자들의 신념이 끊이지 않았음을 보여줌.
 
연대기Annals, 제15권 44장 (약 서기 115년경, 로마 또는 근교)
 
영문 번역:
“Nero fastened the guilt [for the fire] and inflicted the most exquisite tortures on a class hated for their abominations, called Christians by the populace. Christus, from whom the name had its origin, suffered the extreme penalty during the reign of Tiberius at the hands of one of our procurators, Pontius Pilate, and a most mischievous superstition, thus checked for the moment, again broke out not only in Judea, the first source of the evil, but even in Rome…”

한글 요약 번역:
"네로는 (로마 대화재의) 책임을 미움받던 그리스도인들에게 돌리고, 그들에게 극심한 고문을 가했다. 그리스도인이라는 이름은 '그리스투스(Christus)'에서 유래한 것이며, 그는 티베리우스 황제 치하에서 본디오 빌라도 총독에 의해 극형(십자가형)을 당했다. 잠시 억눌렸던 이 사악한 미신은 다시 유대와 로마에서 퍼지게 되었다."

⚠️ 주석: 타키투스는 그리스도인들을 부정적으로 묘사하지만, 예수의 존재, 그의 십자가형, 빌라도의 개입, 그의 추종자들의 활동을 객관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6. 마가의 다락방(The Upper Room of Mark)*
 
초기 교회 전통에 따르면, 이 다락방은 "요한 마가의 어머니 마리아"의 집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오늘날 예루살렘의 시온 산(Mount Zion)에 있는 한 건물이 마가의 다락방 전통지로 여겨지며, 많은 순례자들이 방문한다. 이 건물은 중세 십자군 시대에 재건된 것으로, 메시야 시대 이후 예루살렘은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에 의해 숱한 정복과 파괴, 재건이 반복되었으므로 원래 건물은 사라졌지만 장소적 의미는 계승되고 있다. (혹자는 전혀 성경의 역사적 근거가 없는데도 확정적으로 소개되고 있으며 또한 최후의 만찬과 오순절 성령강림 장소가 같은 장소라는 성경 텍스트의 증거도 없다고 비판한다.)
 
1. 최후의 만찬 (The Last Supper)
예수께서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 만찬을 하시며, 빵과 포도주를 통해 자신의 몸과 피를 상징하셨고, 가룟 유다의 배신을 예고하신 장면(마가복음 14:12-16, 누가복음 22:7-13, 마태복음 26:17-19)

2. 오순절 성령강림 (Pentecost – The Coming of the Holy Spirit)
전통적으로 같은 장소로 여겨지는 다락방
예수 승천 이후, 제자들과 여인들, 예수의 가족들이 함께 모여 기도하던 중 성령이 불의 혀처럼 임한 사건. 이 사건은 초대교회의 시작을 의미하며, 사도들이 여러 언어로 복음을 전파하기 시작한다.(사도행전 1:13-14, 2:1-4)
 
또한 사도행전 12:12에서는 베드로가 감옥에서 풀려난 후, 요한 마가의 어머니 마리아의 집으로 가는 장면이 나온다. 그 집이 기도 모임 장소였다는 점에서 같은 장소로 연결된다.

 
7. 예수의 십자가를 대신 지던 구레네 사람 시몬은 어떻게 되었는가*
 
나가다가 시몬이란 구레네 사람을 만나매 그에게 예수의 십자가를 억지로 지워 가게 하였더라(마27:32)
그들이 예수를 끌고 갈 때에 시몬이라는 구레네 사람이 시골에서 오는 것을 붙들어 그에게 십자가를 지워 예수를 따르게 하더라(눅23:26)
마침 알렉산더와 루포의 아버지인 구레네 사람 시몬이 시골로부터 와서 지나가는데 그들이 그를 억지로 같이 가게 하여 예수의 십자가를 지우고(막15:21)
 
주 안에서 택하심을 입은 루포와 그의 어머니에게 문안하라 그의 어머니는 곧 내 어머니니라(롬16:13)
 
구레네는 현재 아프리카 북부에 위치한 리비아의 수도, 트리폴리이다.
 
 
8. 예수 대신에 풀려난 강도 바라바
 
빌라도가 대답하되 내가 유대인이냐 네 나라 사람과 대제사장들이 너를 내게 넘겼으니 네가 무엇을 하였느냐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내 나라는 이 세상에 속한 것이 아니니라 만일 내 나라가 이 세상에 속한 것이었더라면 내 종들이 싸워 나로 유대인들에게 넘겨지지 않게 하였으리라 이제 내 나라는 여기에 속한 것이 아니니라
빌라도가 이르되 그러면 네가 왕이 아니냐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네 말과 같이 내가 왕이니라 내가 이를 위하여 태어났으며 이를 위하여 세상에 왔나니 곧 진리에 대하여 증언하려 함이로라 무릇 진리에 속한 자는 내 음성을 듣느니라 하신대
빌라도가 이르되 진리가 무엇이냐 하더라 이 말을 하고 다시 유대인들에게 나가서 이르되 나는 그에게서 아무 죄도 찾지 못하였노라
유월절이면 내가 너희에게 한 사람을 놓아 주는 전례가 있으니 그러면 너희는 내가 유대인의 왕을 너희에게 놓아 주기를 원하느냐 하니 그들이 또 소리 질러 이르되 이 사람이 아니라 바라바라 하니 바라바는 강도였더라
(요한복음 18장 35-40절)
 
그는 폭동( 아마도 "로마 권력에 대한 수많은 반란 중 하나"였을 것이다 )에 연루되어 살인을 저질렀다.
이 바라바는 성중에서 일어난 민란과 살인으로 말미암아 옥에 갇힌 자러라(눅23:19)
민란을 꾸미고 그 민란중에 살인하고 체포된 자 중에 바라바라 하는 자가 있는지라 (막15:7)
 
바라바는 죽을 몸이 구원받아 살아난 이 세상 모든 사람의 대명사가 되었다는 것이다*
(십자가에 달린 강도와 마찬가지로, 죄인인 우리와 동일시된다. 죄 없는 예수 대신에 죄인인 우리가 풀려났다.)
 
 

https://blog.naver.com/altazor1/50088762898
[출처] 베드로의 칼과 예수님이 잡히시던 날 밤 |작성자 altazor

베드로의 칼 위키
https://en.wikipedia.org/wiki/Sword_of_Peter
 
예수의 승천
https://en.wikipedia.org/wiki/Ascension_of_Jesus
 
기독일보, [신앙Q&A] 십자가 위에 두 강도는 모두 예수님을 저주 했나요?
https://kr.christianitydaily.com/articles/92964/20170802/%EC%8B%AD%EC%9E%90%EA%B0%80-%EC%9C%84%EC%97%90-%EB%91%90-%EA%B0%95%EB%8F%84%EB%8A%94-%EB%AA%A8%EB%91%90-%EC%98%88%EC%88%98%EB%8B%98%EC%9D%84-%EC%A0%80%EC%A3%BC-%ED%96%88%EB%82%98.htm
 
빌라도 행전 위키
https://en.wikipedia.org/wiki/Pilate_cycle
 
[출처] [빌라도 보고서]는 가짜입니다 |작성자 삭개오처럼 김진수
https://blog.naver.com/pragod69/222697515439
 
마가의 다락방(시나클Cenacle) 위키
https://en.wikipedia.org/wiki/Cenacle
 
https://blog.naver.com/seonyuking/222659206261
선유동주의 이스라엘 요르단 성지순례29
 
바이블게이트의 성경백과사전; 다락방
https://www.biblegateway.com/resources/encyclopedia-of-the-bible/Upper-Room
 
https://thelmaoath.tistory.com/53
thelmaoath의 블로그, Bible Q&A : 마가의 다락방이 예수님께서 최후의 만찬을 한 그 방인가요?
 
Dean Jedidiah의 블로그, 구레네 시몬과 그의 가족의 안부
https://blog.naver.com/dean_cho/220982197078
 
강도 바라바 위키
https://en.wikipedia.org/wiki/Barabbas
 
기하성총회신문, 주님 저입니다(막15:6-15), 고석환 목사님 2020년 3월 10일
http://kagnews.org/bbs/board.php?bo_table=sub07&wr_id=46#:~:text=%EA%B7%B8%EB%9F%B0%EB%8D%B0%20%EA%B7%B9%EC%A0%81%EC%9D%B8%20%EC%88%9C%EA%B0%84%EC%97%90%20%EC%82%B4%EC%95%84%EB%82%AC%EB%8B%A4.%20%EC%98%88%EC%88%98%EA%BB%98%EC%84%9C%20%EA%B7%B8%20%EB%8C%80%EC%8B%A0,%EC%A3%84%EB%90%9C%20%EC%9E%90%EC%8B%A0%EC%9D%84%20%EB%8C%80%EC%8B%A0%ED%95%B4%20%EC%98%88%EC%88%98%EA%BB%98%EC%84%9C%20%EC%8B%AD%EC%9E%90%EA%B0%80%EB%A5%BC%20%EC%A7%80%EC%85%A8%EB%8B%A4%EB%8A%94%20%EA%B2%83%EC%9D%B4%EB%8B%A4.